PACMAD 분지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PACMAD 분지군은 벼과에 속하는 단계통군으로, 참새피아과, 갈대아과, 김의털아과, 참새풀아과, 나도바랭이아과, 새풀아과를 포함한다. 이 분지군의 이름은 포함된 아과들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으며, 뚜렷한 생태적 특징을 가진 분류군이다. PACMAD 분지군 내 아과들은 C3 또는 C4 광합성 경로를 가진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PACMAD 분지군 - 아리스티다족
아리스티다족은 벼과의 한 족으로 아리스티다속, 사르티디아속, 스티파그로스티스속을 포함하며, 과거에는 아리스티다아과의 유일한 족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벼과에 속하고, 특히 스티파그로스티스속은 사하라 사막과 남부 아프리카 건조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안정한 모래 서식지에 특화된 35종의 풀을 포함한다.
| PACMAD 분지군 - [생물]에 관한 문서 | |
|---|---|
| 분류 | |
| 계 | 식물계 |
| 문 | 속씨식물군 |
| 강 | 외떡잎식물군 |
| 목 | 벼목 |
| 과 | 벼과 |
| 미분류 | PACMAD 분지군 |
| 하위 분류 | |
| 아과 | 아리스티다아과 아룬도아과 클로리스아과 단토니아아과 미크라이라아과 파니쿰아과 |
2. 계통 분류
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.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.[1]
{| class="wikitable"
|-
! 벼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노모클로아아과 '''C3''' (4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파루스아과 '''C3''' (13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푸엘리아아과 '''C3''' (11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! BOP 분지군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벼아과 '''C3''' (110)
|-
|
| 대나무아과 C3 (1450) |
| 포아풀아과 C3 (3850) |
|}
|}
|}
|}
|}
|}
|}
|-
! PACMAD 분지군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리스티다아과 '''C3''' & '''C4''' (350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기장아과 '''C3''' & '''C4''' (3250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
|-
|
|}
|}
|}
|}
|}
|}
각 아과의 탄소 고정 광합성 경로를 나타낸 PACMAD 분지군의 계통 발생은 다음과 같다.
{| class="wikitable"
|-
! 벼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노모클로아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파루스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푸엘리아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BOP 분지군
|-
! '''PACMAD 분지군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나도바랭이아과 '''C3''' & '''C4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참새피아과 '''C3''' & '''C4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
| 김의털아과 C3 & C4 |
| 새풀아과 C3 |
|-
|
| 갈대아과 C3 |
| 참새풀아과 C3 & C4 |
|}
|}
|}
|}
|}
|}
|}
|}
|}
2. 1. 하위 분류
PACMAD 분지군에는 다음 아과가 포함된다.- 아리스티다아과 (Aristidoideae)
- 물대아과 (Arundinoideae)
- 나도바랭이아과 (Chloridoideae)
- 꼬인새풀아과 (Danthonioideae)
- 미크라이라아과 (Micrairoideae)
- 기장아과 (Panicoideae)
이 분지군의 이름은 포함된 아과인 참새피아과, 물대아과, 김의털아과, 참새풀아과, 나도바랭이아과, 새풀아과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. 이 분지군은 정의된 분류학적 계급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, 뚜렷한 생태적 특징을 가진 잘 정의된 단계통군을 지칭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.
2. 2. 분지군 내 계통 발생
다음은 PACMAD 분지군의 계통 발생을 나타낸다.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.[1]{| class="wikitable"
|-
! 벼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노모클로아아과 '''C3''' (4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파루스아과 '''C3''' (13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푸엘리아아과 '''C3''' (11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! BOP 분지군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벼아과 '''C3''' (110)
|-
|
| 대나무아과 C3 (1450) |
| 포아풀아과 C3 (3850) |
|}
|}
|}
|}
|}
|}
|}
|-
! PACMAD 분지군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리스티다아과 '''C3''' & '''C4''' (350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기장아과 '''C3''' & '''C4''' (3250)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
|-
|
|}
|}
|}
|}
|}
이 분지군의 이름은 참새피아과, 갈대아과, 김의털아과, 참새풀아과, 나도바랭이아과, 새풀아과에 속하는 아과들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. PACMAD 분지군은 뚜렷한 생태적 특징을 가진 잘 정의된 단계통군을 지칭한다.
각 아과의 탄소 고정 광합성 경로를 나타낸 PACMAD 분지군의 계통 발생은 다음과 같다.
{| class="wikitable"
|-
! 벼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아노모클로아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파루스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푸엘리아아과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BOP 분지군
|-
! '''PACMAD 분지군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나도바랭이아과 '''C3''' & '''C4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 참새피아과 '''C3''' & '''C4'''
|-
|
{| class="wikitable"
|-
|
| 김의털아과 C3 & C4 |
| 새풀아과 C3 |
|-
|
| 갈대아과 C3 |
| 참새풀아과 C3 & C4 |
이 분지군의 이름은 참새피아과, 갈대아과, 김의털아과, 참새풀아과, 나도바랭이아과, 새풀아과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. 이 분지군은 정의된 분류학적 계급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, 뚜렷한 생태적 특징을 가진 잘 정의된 단계통군을 지칭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.
|}
|}
|}
|}
|}
|}
|}
|}
|}
3. 생태적 특징
각 아과의 탄소 고정 광합성 경로는 다음과 같다.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